맛있는 개발자의 기록 일기
  • 홈
  • 관리창
  • 메뉴 닫기
  • 글작성
  • 방명록
  • 환경설정
    • 분류 전체보기 (84)
      • Java (74)
      • Food (2)
      • Java 기초 (0)
      • Java 심화 (0)
      • Language (4)
        • Java (4)
      • Framework (2)
        • Spring (2)
      • DevOps (1)
        • Git (1)
      • Cloud (1)
        • Amazon Cloud (1)
  • 홈
  • 태그
  • 방명록
Java

[Spring] Profiles - 환경 구분(dev / prod / local)

✔ 개요 서비스를 운영하다 보면 운영, 개발, 로컬에 세팅을 다르게 해주어야 할 경우가 많다. 만약 하나의 properties를 사용하게 되면 현재 서버에 해당하는 properties로 직접 개발자가 매번 변경해야 한다. 이럴 경우 properties의 수정 누락으로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또한 환경변수 변경은 Git을 통한 형상관리도 할 수 없다는 단점도 존재한다. 그래서 스프링 프로젝트를 개발할 때는 환경변수를 사용하기보다 스프링의 프로파일(Profile)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명시적으로 런타임 환경을 구분할 수 있는 Spring Boot Profiles를 사용한다. 런타임 환경을 구분할 수 있는 Profiles를 제공한다. Activated 된 profile에 따라서 자동적..

2022. 10. 21. 15:48
Java

[Java] 로그인 인증방식은 어떤것이 좋을까? JWT(Json Web Token)발행 및 확인 vs Session

※ 사내 예약 시스템을 분석하다가 처음으로 JWT를 사용하는 것을 보고 궁금해서 찾아보고 적용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번에 분석을 맡은 spring boot + react로 된 새로운 프로젝트에서는 jwt를 사용하여 로그인을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제가 알고 있던 방식으로는 cookie와 session 방식정도만 알고 있었는데, jwt는 어떤 장점이 있어서 사용하는 걸까?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물론 각각의 방식에 대해서 장단점이 있으니 프로젝트의 환경에 맞는것을 적절히 골라서 사용하면 되겠습니다. 로그인 방식은 무엇인가? 한번쯤은 무상태(stateless)에 대해서 들어보셨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이는 비 연결적인 특성입니다. 연결이 해제되면 동시에 server 및 clinet는 clinet가 이전에 ..

2022. 7. 11. 14:51
  • «
  • 1
  • »
Powered by Privatenote Copyright © 맛있는 개발자의 기록 일기 All rights reserved. TistoryWhaleSkin3.4

티스토리툴바